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서울 상황 보셨지만 이미 전국 곳곳에서 빈대와의 전쟁이 진행 중입니다.<br> <br>피해는 얼마나 심각한지, 퇴치는 가능한지, 현장카메라 전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벽지와 장판에 있는 검은 흔적들.<br> <br>모두 죽은 빈대입니다.<br> <br>지금 전국에선 사라진 줄 알았던 빈대와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방역 현장을 가보겠습니다.<br> <br>서울 용산의 한 가정집. <br> <br>의자에 걸어놓은 옷에 빈대 한 마리가 기어 다닙니다. <br> <br>달력 위쪽 검은 점처럼 보이는 건 빈대 배설물. <br> <br>주위에 빈대 세 마리도 보입니다. <br> <br>천장 가까이에도, 액자 뒤에도 빈대 천지입니다. <br> <br>[한 호 / 빈대 방제전문업체 대표] <br>"빈대는 야행성이다 보니까 꼭 새벽에 사람을 공격합니다. 생활 리듬이 전부 깨지고요." <br> <br>경기 시흥의 공장 노동자 사택. <br> <br>방 하나에는 모기장을 쳐놓고 주위에 끈끈이도 둘렀습니다. <br> <br>빈대 때문입니다. <br> <br>[사택 거주자] <br>"좀 많이 물리고, 수면 방해죠, 수면 방해." <br> <br>[신혜진 / 방역업체 관계자] <br>"지금 살고 계신 분은 너무 빈대에 많이 물려서 지금은 외부에 나가서 거주를 하고 계시고 한 달가량 집을 비워둔 상태예요." <br> <br>인근 고시원은 반 년째 빈대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[고시원 관계자] <br>"여기 살던 사람 하나가 인천에서 배를 해체하는 작업을 했어요. 선령이 오래된 것들은 그 안에 온갖 벌레들이 많았겠죠. 그 사람이 여기 20일 살면서 나갔는데 그 이후로 시작됐으니까 6개월 정도 지나니까 많이 번지더라고." <br> <br>이불을 들치니 빈대가 기어 다니고, 손으로 누르니 사람 피가 나옵니다. <br> <br>[고시원 관계자] <br>"이렇게 자다가 따끔거리면 습관적으로 벌떡 일어나서 휴대폰으로다가 플래시 켜고 막 찾는 거야." <br> <br>외국인과 접점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최근 빈대 박멸 요청이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근옥 / 방역업체 관계자] <br>"하루에 한 두세 건은 들어옵니다. 작년에 비해 한 10배 정도 문의가 많이 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모텔, 여관, 고시원 또 아니면 단체 합숙소 이런 데서…." <br> <br>[오세영 / 경기 군포시] <br>"근질근질해 가지고 일어나서 보니까 털어보니까 거기서 나와가지고. 제가 영업직이다 보니까 외국인도 그렇게 만나다 보니까 아마 저 캐리어 가방에서 옮기지 않았나." <br> <br>해외 유입 빈대는 살충제 저항성이 있는데다 좁은 틈에 은신하는 습성 때문에 박멸이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뜨거운 수증기로 소독하거나 저항성 없는 살충제를 활용해 수차례 퇴치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